작년 중순, 프로그래머스 데브 잡 매칭을 통해 이직했다. (궁금하시다면 링크를 눌러 확인해보시길)
이번에도 안되면 나란 사람에 대해 정말 심각하게 고민해보자는 마음으로 임했었다.
첫 직장
2017년 하반기, 내 나름대로 기준을 세워가며 가고 싶은 회사를 고르고 골랐다.
첫 직장도 그 기준에 부합했고 공채를 통과하여 2018년 신입사원으로 시작할 수 있었다.
솔직히 말하면 더 원했던 회사는 떨어지긴 했다. 🤣
이런 경험은 누구나 있을테니 제쳐두고...
처음에는 돈벌이를 한다는 생각에 그저 좋았던 것 같다.
그리고 2018년 하반기부터 마냥 철없이 이직을 시도했다. 급여가 너무 적었기 때문이다.
그런 마음가짐으로도 대기업에 다시 안착하는 중고신입도 굉장히 많지만 내겐 그런 운과 실력은 없었던 모양이다.
그렇게 계속 신입공채 준비만 하며 2년을 의미없이 보냈다.
당신은 왜 이직하나요?
이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왜 이직하느냐" 이다.
터전을 다른 곳으로 옮기려는 데에는 마땅한 이유가 필요하다.
지금 잘 다니는데 굳이 옮겨야만 할까? 왜? 면접관도 제일 궁금해하는 질문이기도 하다.
내가 면접관이어도 조금 더 진솔한 이유를 가진 사람을 뽑을 것이다.
실력은 기술 면접을 통해 검증하면 된다.
이전의 나처럼 현실적인 이유일 수도 있다. 급여가 부족해서, 복지가 안좋아서, 업무 환경이 좋지 않아서.
나는 어떤 마음으로 이직을 준비했을까
신입 공채에 붙어 새 회사에 옮기더라도 지금 일(스프링 백엔드)를 계속 하고 싶었다.
이 일이 재밌고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른 환경에서 더 잘해보고 싶은 마음이 강했다.
3년차가 되었을 때 중고신입으로 가기는 늦었다고 생각했다. 중고 신입은 보통 2년차까지 받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내 마음가짐도 조금 수정할 필요를 느꼈던 것 같다.
확실하게 지금 일을 더 잘할 수 있는 곳을 골라보자고 마음먹었다.
이직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를 성장으로 바꾸었다.
환경과 성장
이직 사유와는 상관 없이 2년동안 회사를 마음 편히 다니지 못하고 항상 불안했다.
커리어에 대한 고민.
그리고 이대로 시간을 계속 보낸다면 그저 이런 일을 반복하는 개발자가 되겠구나 싶은 무서움.
내면의 불안감을 떨쳐낼만한 회사를 골라야만 했다.
사내 환경은 주니어 서버 개발자가 성장하기에 좋지 않았다.
제일 큰 이유는 분위기다. 같이 공부하고 어떻게 개선할까 하는 고민을 같이 했었으면 좋겠는데 그렇지 않았다.
개선은 언제나 좋다고들 말하지만 개선을 적용하려면 확실한 "Benefit"이 있어야 했다.
"네가 말한 benefit은 알겠어. 근데 내 경험상..." 으로 시작하는 경험 중심의 시니어를 설득하기는 너무 어려웠다.
당연히 경험은 틀리지 않다. 그러나 영원히 정답은 아니다. IT는 온고지신의 마음가짐으로는 안되는 영역이다.
내가 언급했던 개선점들은 업계에서 이미 널리 쓰이고 있는 요소들이었고 분명 같이 연구할만한 가치는 있었다.
일례로 팀 차원에서 Git으로 이관하기 위해 내가 총대를 매고 Gitlab 서버를 구축했던 적이 있다.
사내에서 사용하지 않던 컨테이너 환경으로 구축하기도 하고 팀을 위해 git flow 전략을 고민해보는 등 나름대로 연구를 많이 했다.
그러나 Git의 장점인 멀티 브랜치는 SVN에서도 잘 되는데 프로세스를 바꾸어가면서 왜 전환해야 하느냐고 하는 시니어 분을 설득하지 못했다.
물론 설득하지 못한 내가 가장 큰 잘못이다. 팀장님도 내 편이었고 주니어도 내 편이었는데도 내 목소리는 닿지 않았다.
팀 차원에서 같이 고민해서 우리의 베네핏으로 만들면 되는 것 아니었을까.
내가 구축한 gitlab 서버는 현재 옆팀에서 아주 잘~ 쓰고 있다고 전해들었다.
이런 일화들이 쌓여가며 성장이 어려운 환경이라는 생각은 확고해졌고
외부의 개발자들에 비해 뒤쳐진 일을 하고 있다는 위기감도 점점 커지고 있었다.
두 번째는 솔루션의 한계에서 오는 문제였다.
트래픽을 다뤄볼 기회가 전혀 없었다. 트래픽이 없으면 운영 경험을 쌓기 어렵다.
사내는 200명 남짓이고 사내망에서만 동작하는 솔루션이다보니 TPS가 10 이상으로 치솟는 일 자체가 드문 환경이었다.
그래서 꼭 B2C IT 서비스를 하는 회사에서 대용량 트래픽에 얻어맞아가며 전문적인 경험도 쌓고
개발 문화가 좋은 곳에서 서로가 서로의 성장을 견인하는 곳으로 가자고 결심했다.
이직 준비
이직 준비야 꽤 오래하긴 했지만, 이번에 성공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소를 꼽아보면 포트폴리오와 기초 다지기였다.
포트폴리오는 내 블로그에서 가장 조회수를 잘 벌어다주는 포스트인 여기에 정리한 것처럼 만들었고,
회사에서 사용하지는 않아도 주요 서비스업에서 많이 사용하는 것들과 기초 위주로 공부했다.
다 정리한 것은 아니지만 정말 잊고 싶지 않은 내용은 정리하여 블로그에 업로드했다.
예전처럼 사용법만 익히려는 마음가짐으로 공부하진 않았다.
왜 스프링의 내부적인 동작 구조부터 공부하려고 하지 않았을까? 하는 실망에서부터 시작했기 때문인 것 같다.
프레임워크를 구성하는 코드를 파헤쳐가며 뇌리에 새기려고 노력했다.
당연한 사실이지만 이직을 위해서만 공부해야 할 내용들은 아니다.
이 때 공부했던 내용들이 개발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크게 높여주며 업무에도 도움이 되었다.
전 직장에서도, 현재 직장에서도 그렇게 느끼고 있다.
지원서 제출
프로그래머스 잡 매칭은 한 번의 코딩 테스트로 최대 5개의 회사에 지원할 수 있다.
몇 개는 보자마자 골랐고 나머지 2개는 열심히 골라서 괜찮은 곳으로 채워넣었다.
지금 다니는 회사는 보자마자 고른 곳 중 하나인데, 작년 말에도 도전했고 이번에도 도전했을 정도로 정말 원했던 회사 중 하나이기도 했다.
회사에서 했던 업무를 정리하고 자기소개 양식에 맞춰서 내용을 작성하여 지원을 완료했다.
코딩테스트는 평소에도 준비를 해두었기 때문에 별 문제없이 모든 문제를 맞출 수 있었다.
경력직 코테는 어딜가나 그리 어렵진 않다. 수치로 따져보면 프로그래머스 레벨 3정도?
백준이든 프로그래머스든 상관없이 탈출을 희망한다면 꾸준히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서류 결과는 코딩테스트가 종료되고 나왔다.
2개는 광탈했고 3개의 회사에 면접 일정이 잡혔다.
면접
코딩테스트에 자신이 있었던 만큼 서류 결과가 나오기 전부터 면접을 준비했다.
CS와 자소서 내용 위주로 대비를 했는데, 아무래도 운영체제쪽은 다시 복기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서
예전에 정리했던 내용들을 다시 훑어보았다. (면접 문제로 깊게까지 물어보니 굉장히 어려웠다...)
시국이 시국이다보니 3개 회사 모두 비대면 면접으로 진행했다.
한 회사는 화면과 얼굴 공유를 모두 켜고 라이브 코딩 테스트를 보았다.
비대면은 컴퓨터 성능도 굉장히 중요하다.
그 때 사용했던 내 노트북이 2018년형 맥북 에어였는데, 조금만 무리해도 스로틀링에 걸려 정신을 못차린다.
라이브 코딩 1시간, 리뷰 1시간 순으로 진행한 면접이었다.
크롬과 카메라, 화면공유, 인텔리제이까지 켜고 라이브 코딩을 시작했는데
맥북이 미친듯이 열을 내뿜었고 방은 열기로 가득찼다.
그러다가 타이핑까지 렉이 걸렸다. 코딩 자체를 할 수가 없었다.
그렇게 면접에서 탈락해버렸다.
다른 두 개의 회사는 화상으로 질문과 답변만 오갔다.
라이브 코딩보단 낫지만 계속 연결이 툭툭 끊겨서 면접관이 말이 끊겨 들렸던 문제가 있었다.
면접 질문을 들어보니 블로그를 작성하고 깊게까지 공부하려던 노력이 유효했음을 느꼈다.
면접 질문은 잘 기억이 안나는데 스프링의 내부 구조를 많이 물어본 점은 기억한다.
2차 면접에서는 임원분과 1:1로 면접을 보았으나 선배 개발자와 이야기하듯 즐거웠었다.
내가 회사에서 많이 고민했던 점, 풀어나가려고 노력한 점, 그리고 동료들과 하고 싶었던 것들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현재 환경에서 많은 고민을 한게 느껴진다"고 공감을 해주셔서 그런지 편안했다.
그렇게 원하던 회사에 합격을 할 수 있었다.
현재 당신은 어떤가요?
비슷한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은 꽤 많다.
이직이나 이직 사유는 개발자 단톡방 등 커뮤니티에서도 자주 보이는 주제이기도 하다.
이직 사유가 없어도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가슴 속에 퇴직서는 품고 있다.
이직은 분명 두렵기도 하고 감정소모가 많이 되는 일이다.
그러나 내가 꽉 잡고 있는 환경이 앞으로 살아가야 할 시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오래 잡고 있는게 오히려 손해다.
새로 가는 환경이 안좋다면 더 큰 손해다.
돈 많이 주는 곳, 복지 좋은 곳과 같은 기준도 좋지만 그렇게 이직해서 본인에게 행복할지는 심사숙고를 해보자.
누구나 같은 시간을 살아가는 만큼 시간이라는 기회비용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새 회사 생활
연봉 협상을 잘 하지 못해서 금액은 영 눈물이 나지만... 😱😱😱
그 점 하나만 빼면 기대만큼이나 만족스러운 생활을 하고 있다.
개발 문화도 맘에 들고 모두가 참여하는 팀내 스터디도 좋다.
내 경험이 부족하여 수습을 통과하지 못할거란 불안감도 있었으나 무사히 3개월이 지나갔고 프로그래머스 잡 매칭 사이닝보너스도 받았다.
전 회사에 다니는 내내 이직을 준비하다가 감정을 너무 많이 소모했는지 번아웃이 제대로 왔다.
지금 너무 만족스러운 것과는 별개로 공부가 손에 거의 잡히지 않고 아무 것도 하기 싫었다.
부끄러운 일이다. 😡
올해는 더 열심히, 의욕적으로 해보고자 한다.
어떻게 할지는 조금 더 고민을 해봐야겠다.
예전처럼 블로그에 집중하고 싶은데 책읽고 정리한 것보다는 나만의 컨텐츠를 쓰고 싶다.
내가 직접 작성한 포스트의 조회수가 잘 나오기도 하고...
그저 누군가가 정해놓은 뒤꽁무니만 쫓는 사람이 되고 싶지는 않기 때문이다.
작년은 이직을 통해 한 걸음 성장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인생에 있어서 큰 발자취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이직을 시도하는 모두가 힘을 내어 원하는 바를 이루었으면 한다. 😁
'기타 > 회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상반기 및 우아한 테크캠프 Pro 2기 회고 (3) | 2021.07.13 |
---|---|
2020 상반기 회고 (0) | 2020.07.18 |
2019 회고록과 새로운 다짐 (0) | 2020.01.29 |